본문 바로가기
전라도

과거로의 여행, 낙안 읍성

by Sage 역사인문여행전문가 2023. 11. 14.
반응형

1. 세월에 곰삭은 것들은 모두 편안하다

세월이 흐르면 모난 것은 마모되어 매끈해지고 강한 것은 부드러워진다. 강가에 나아가 조약돌을 보라. 한 때는 큰 바위였던 것이 깨어져 울퉁불퉁한 돌이 되고 그것들이 물길에 서로 부딪치면 매끄럽고 예쁜 조약돌이 되는 것이다. 한 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뽐내던 콧대도 세상 도처에 저보다 잘난 사람 많다는 것을 알게되고, 운좋게 성숙한 위인을 만나게 되면 더욱 부드럽고 겸손해지는 것도 세월의 힘인 것이다. 그래서 세월은 모든 것을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만든다. 세월이 가면 팔팔하던 만물이 약해지고 시들고 병들기도 한다. 죽음을 향해 가는 것은 살아있는 것들의 숙명이다. 우리는 하루 하루 세월을 살아가면서 죽음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하루 하루 죽음에 가까워 진다고 해서 그렇다고 해서 마냥 슬퍼하고 불행해 할 일인지는 깊이 생각해 볼 일이다. 청춘이 좋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 시절로 다시 돌아갈 의향이 있는지 내게 묻는다면 나는 그냥 세월이 흐르는 대로 그를 따라서 늙어 갈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내가 사는 모든 세월이 나름대로 모두 저마다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어서 딱 그 세월에 맞는 삶을 즐겁게 살아가는 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세월은 힘을 갖고 있다. 갈등도 세월이 지나면 부족한 부분은 채워주고 지나친 부분은 떨어져서 균형을 찾고 정당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삶이 그렇고 심지어 나라나 인류의 역사도 그렇다. 그래서 세월앞에서 겸손해져야 하고, 겸손하게 세월에 순응하다 보면 마음이 허허롭고 편안해지는 것이다.

2. 낙안읍성 민속마을

전라남도 순천에 있는 낙안읍성 민속마을을 돌아보며 이러한 세월의 힘과 넉넉함을 느꼈다. 낙안읍성 민속마을에 들어서면 초가집, 기와집, 집 뒤안의 장독대 등이 우리를 맞아준다. 이곳은 박제화된 민속촌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이 살면서 생활하는 생동하는 삶의 현장이다. 그 분들이 이곳 풍경에 어울리게 한복을 입고 있다. 농기구도 낫, 괭이, 호미 등 옛것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요즘 현대 자동화된 농기구는 사용하지 않고 있어서 마치 조선시대나 고려시대로 과거 시간여행을 하고 있는 느낌이 든다. 낙안읍성은 금전산을 배경으로 완전히 평야지역에 건축한 평지읍성이다. 이 성은 조선 태조 6년(1397년)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위해 이 고장 출신인 낙안김씨 반길 장군이 토성을 쌓은 것에서 시작되었다. 석성으로의 증축은 조선 4대왕인 세종9년(1426년)에 이루어 졌다. 그 후 조선 인조 4년(1626년)에 임경업장군이 낙안 군수로 부임하여 현재의 석성으로 중수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낙안읍성안에는 임경업 장군을 모신 사당이 모셔져 있다. 넓은 평야에 큰 정방형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높이 4미터,너비 3~4미터, 성의 총길이는 1.4킬로미터로 성내 면적은 약 4만 1천평이라고 한다. 오랜 시간이 흘렀는데도 성곽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고 지금도 성내에 100여호 이상의 주민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 살아 숨쉬는 민속마을인 것이다. 그래서 낙안 골목길을 걷다보면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 조선시대의 어느 마을로 시간여행을 하는 느낌이 들어서 참 좋다.

3. 아담한 읍성들

읍성이란 한 읍을 둘러싼 성으로서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 행정기능을 담당하던 곳으로 우리나라는 주로 해안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고창, 거제, 낙안, 동래 등 우리나라에 15개의 읍성이 남아 있는데 모두 해안지방에 있는 것을 보면 왜구(일본 해적) 등 외부 침입으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성종때 전국 330개 행정구역중에서 190개가 읍성이었다. 이러한 읍성은 한국만의 고유한 성곽제도라 할 수 있다. 읍성들은 우리나라 지방 마을의 특성에 따라 평지에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서울 즉 한양도성의 배치를 축소해 놓은 것으로 이해하면 거의 틀림없다. 한양도성이 북한산을 뒤에 두고 성곽 북쪽 중앙에 경복궁이 있듯이 읍성에는 지방의 진산을 배후에 두고 관아를 배치한다. 관아 앞으로는 동서와 남북대로가 있다. 한양의 남북대로(주작대로) 주변에 상점인 육의전과 관영건축물이 배치되었듯이 읍성도 비슷하다. 살림집들의 배치도 조사해 보면 비슷한데, 신분에 따라 성곽내에서의 거주 구역이 구분되었다. 이러한 읍성제도 때문에 외부 침략이 발생하면 민관군등이 모두 합동하여 전쟁을 치를 수 있었다. 모든 백성들이 읍성안에서 자신의 거주지를 위하여 도시 방어를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는 것이다. 외부 침략에 대한 대비 시설로서 대부분의 읍성이 성곽주변에 해자, 치, 문루 및 옹성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낙양읍성 같은 민속마을을 둘러보면서 조선시대의 도시배치, 방어시설 등 건축술 및 역사 문화사적 관점에서 조사해 보는 것도 지적호기심을 만족하고 생각의 지평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된다. 그래서 사전에 미리 준비하고 현장에 가면 여행이 더욱 풍성해지므로 자료조사 후에 여행을 할 것을 강력하게 권고하고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