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라도10

하서 김인후의 강학당 훈몽재(訓蒙齋) 1. 순창에 있는 훈몽재(訓蒙齋)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리에 가면 "훈몽재"라는 유적이 있다. 정읍 내장산 국립공원에서 지척이다. 호남고속도로 정읍 IC를 빠져나와 국도 21번에서 순창군 쌍치면 시산리와 중안리 중간도로를 따라 둔전리로 가면 백방산 자락 아래 추령천변에 위치해 있다. 정읍 IC에서 자동차로 약 30분 소요된다. 훈몽재 의미는 '어리섞음을 가르쳐 일깨우는 집'이라는 뜻이니 후학을 양성하는 강학당인 것이다.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1548(명종3)년에 자신의 처가집 고향마을에 지었다. 2. 조선 중기 문신 하서 김인후의 강학당 김인후는 1510(중종5)년에 전라도 장성에서 태어났다. 18살에 성균관에 들어가 공부하였고 21살에 사마시(주석1)에 합격하였다. 23살때부터 퇴계.. 2024. 4. 3.
고창 문수사와 장성 축령산 우왕좌왕 여행기 청량산이 왜이리 많나?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에 가면 문수사라는 절이 있다. 선운사의 말사이다. 일주문에는 분명하게 청량산 문수사라고 쓰여 있다. 그런데 네이버에서 청량산을 검색하면 경상북도 봉화에 있는 쳥량산이 나오고 전라북도 고창 청량산은 검색되지 않는다. 그 대신 축령산이라고 검색하면 잘 나온다. 문론 축령산도 경기도 남양주에 또 있다. 그 곳은 서울에서 가깝기도 하고 자연휴양림이 잘 갖춰져 있어서 더욱 유명하다. 그래서 고창의 청량산 또는 축령산 또는 문수산을 등산하려면 주소를 잘 살피고 클릭하여야 한다. 청량산은 등산하지 못했다. 이렇게 장황하게 설명하는 이유가 있다. 지난 주말 청량산 문수사 문수보살님을 알현하고 청량산을 등산할 요량으로 집을 나섰다. 고창 문수사까지는 잘 갔는데, 문수사를 통.. 2024. 1. 10.
영광 내산서원과 강항선생 내산서원 둘러보기 서원 안내판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에 가면 내산서원이 있다. 삼국시대 백제에 불교를 전해준 인도승려 미라난타와 인연이 있는 사찰 불갑사가 지척인 곳이다. 나즈막한 산이 뒤, 좌우에서 포근하게 감싸고 있었다. 서원은 남향을 하고 따뜻한 햇볕을 받고 있었다. 입구에는 정치인들의 기념식수가 여럿보였다. 강항선생을 추모하는 염을 가지고 했으리라....... 산은 신령이 살아야하고 사찰에는 도력 높은 고승이 살아야 하고 서원에는 학식과 경륜이 풍부한 선비가 있어야 빛이 나는 법인데, 빈 서원에는 초겨울의 햇볕만 고요히 머물고 있다. 서원앞의 연못 강항 선생 수은 강항(睡隱 姜沆) 선생은 1567년에 출생하여 1618년까지 사신 조선중기의 문신이다. 임진왜란을 몸소 겪으신 분이고 특히 일본에 끌려.. 2024. 1. 10.
지산리 당산나무에서 듣는 판소리 서편제 지산리 당산나무 지산리 당산나무는 영화 "서편제"의 무대이다.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지산리에 있는 당산나무 정말 멋있다. 나무의 종류는 팽나무인데 나이가 450년 이상이다. 450년된 영물을 암수라고 칭할수 없으니, 할아버지 할머니 나무라고 해야할 것이다. 지산리 당산나무는 할아버지 할머니 나무 둘이 마주보고 서있는데, 서쪽이 있는 것이 할머니 나무인 듯하다. 이 할머니 나무가 영화 "서편제" 에 많이 나온다. 🎋 안내판을 읽어보자 👈 서편제는 임권택 감독이 이청준의 소설을 영화화하여 1993년 단성사에서 개봉하였고 주연배우 오정혜를 스타로 탄생시킨 영화이다. 한국전통의 소리를 영화로 새롭게 조명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서편제"는 당시 영화 사상 최초로 관객 113만 명을 동원하여 유명해진 작품이기.. 2023. 12. 29.
백제에 불교 처음 도래한 곳, 불갑사 1. 동북아시아 불교 인간은 무언가 섬기면서 살아야 하는 운명인듯 하다. 돌도끼들고 사냥하던 선사시대에도 토테미즘, 애니미즘, 샤머니즘, 영혼 숭배사상등이 있었음이 이를 증명한다. 이러한 원시종교는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하여 명확한 설명을 하지 못한다. 단지, 정령이나 영혼이 있어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잘 보살핌을 받으려면 정성들여 숭배해야 한다는 것이 기본 논리이다. 동아시아의 기본사상이면서 공자를 종조로 삼는 유교에서도 더불어 잘 살아가는데 필요한 규범과 행동양식은 잘 설명하고 있지만, 죽음이후의 문제에 대하여는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에서 들어온 불교는 아주 매력적이었다. 불교는 기원전 4세기경 인도에서 석가모니에 의해 시작되어 중국의 동한시절(유수.. 2023. 12. 10.
과거로의 여행, 낙안 읍성 1. 세월에 곰삭은 것들은 모두 편안하다 세월이 흐르면 모난 것은 마모되어 매끈해지고 강한 것은 부드러워진다. 강가에 나아가 조약돌을 보라. 한 때는 큰 바위였던 것이 깨어져 울퉁불퉁한 돌이 되고 그것들이 물길에 서로 부딪치면 매끄럽고 예쁜 조약돌이 되는 것이다. 한 때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뽐내던 콧대도 세상 도처에 저보다 잘난 사람 많다는 것을 알게되고, 운좋게 성숙한 위인을 만나게 되면 더욱 부드럽고 겸손해지는 것도 세월의 힘인 것이다. 그래서 세월은 모든 것을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만든다. 세월이 가면 팔팔하던 만물이 약해지고 시들고 병들기도 한다. 죽음을 향해 가는 것은 살아있는 것들의 숙명이다. 우리는 하루 하루 세월을 살아가면서 죽음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하루 하루 죽음에 가까워 진다고 해.. 2023. 11. 14.
생사를 넘나드는 사랑, 만복사 저포기 1. 김시습의 금오신화 현장 우리나라의 최초 한문소설은 김시습의 ‘금오신화’로 알려져 있다. 매월당 김시습이 조선 세조때 경주 남산인 금오산 용장사에서 쓴 소설이다. 금오신화는 중국의 ‘전등신화’를 본떠서 쓴 것이다. 이러한 형식은 당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 3국에서 크게 유행하였는데, 이 전등신화도 실은 당나라때의 소설을 따라한 것으로 고금의 괴담을 역은 전기소설인 것이다. 김시습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생육신의 한사람이다. 조선 전기의 역사를 보면 계유정난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이 나온다. 이 사건은 조선 4대왕 세종의 아들중 하나인 수양대군이 조선 6대왕인 단종(수양대군의 조카)을 몰아내고 7대왕 세조가 된 정치사건이다. 이 사건에 반대하여 죽음으로 충절을 지킨 6명의 신하를 사육신, 목숨을 부.. 2023. 11. 12.
다산초당, 천주교로 고초당한 정약용의 유배지 1. 다산초당은 정약용의 유배지다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산 기슭에는 다산 정약용이 유배생활을 하던 다산초당이 있다. 초당이라면 초가집을 말하는 것인데 현재시설들은 모두 기와집으로 되어있다. 이는 선생님 사후에 복원하면서 당시와 다르게 기와집으로 복원한 때문이다. 아마, 초가집은 내구성이 부족하여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당시모습 그대로 복원 보존하지 않은 것이 좀 아쉬웠다. 다산은 강진의 귤동에 있는 산 이름이다. 이 기슭에서 오랬동안 유배생활을 하셨으므로 정약용 선생이 자신의 호로 삼은 것이다. 당시 선비들은 이름을 부르기 보다 호를 불렀다. 이름은 부모님으로 부터 받은 소중한 것이라 함부로 부를 수 없고 호는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정한 호칭인 것이다. 이 유적지에는 다산초.. 2023. 10. 13.
왕인박사 유적지, 한반도와 일본관계 과거와 현재 1. 왕인박사 일본문화 개화에 큰 기여했다 전남 영암군 군서면 성기동(현 동구림리)은 왕인박사의 탄생지이다. 월출산 동쪽기슭에 붙어 있고 남서쪽으로는 영암호를 통해 서해바다로 통하는 곳이다. 여기에 가면 왕인박사의 유적지가 잘 조성되어 있다. 왕인박사는 4세기 근구수왕 때 탄생하여 8살 때부터 유학과 경전을 수학하였는데 문장과 실력이 뛰어나 18살때 오경박사에 등용되었다고 한다. 백제 17대 아신왕 때, 일본에서 백제에 학자를 보내줄 것을 청하자 왕인이 논어 등 유학서적을 일본으로 가져가 학문을 전해 주었다. 도일할 때, 왕인 박사는 32세로 일본 응신천황의 초빙을 받은 것이며, 논어 10권 천자문 1권을 가지고 5세기초 일본으로 건너가 그 해박한 경서의 지식으로 응신천황의 신임을 받아 태자의 스승이 되.. 2023. 10. 12.
무위사, 극락보전 맞배지붕이 유명한 천년고찰 1. 무위사는 여러번 고쳐 지어졌다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에 가면 월출산 남서쪽 기슭에 무위사가 있다. 전에는 큰 사찰이었으나 지금은 넓은 부지에 건물이 많지 않아 좀 쓸쓸한 느낌이 드는 곳이다. 무위사의 역사는 유구하다. 조선시대 까지만 해도 총 네번에 걸쳐서 고쳐지어진 사찰이다. 첫번째, 서기 617년(신라 진평왕 39년)에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어 관음사라고 불려졌다고 전한다. 617년이면 백제와 신라가 치열하게 전쟁을 하던 시기인데 신라의 스님이 백제땅에 사찰을 창건한 것을 믿기 어렵다. 혹시 통일 신라후에 사찰의 보존을 위해서 신라 원효대사와의 인연을 둘러 붙인 것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드는 대목이다. 두번째, 서기 875년(신라 헌강왕 1년) 도선국사가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하였다고 한다. .. 2023. 10. 11.
반응형